사색과독서/교양도서
[한시] 유선사(遊仙詞) 56 반도결자(蟠桃結子), 허난설헌
공노사노
2024. 2. 10. 05:27
728x90
반응형
유선사(遊仙詞) 56 반도결자(蟠桃結子), 허난설헌
蟠桃結子宴崑崙(반도결자연곤륜)
滿酌瓊醪勸上元(만작경료권상원)
催喚彩鸞東去疾(최환채난동거질)
玉峰邀取老軒轅(옥봉요취노헌원)
蟠(서릴 반) 桃(복숭아 도) 結(맺을 결) 宴(잔치할 연) 崑(산이름 곤) 崙(산이름 륜)
滿(찰 만) 酌(따를 작) 瓊(아름다울 경) 醪(막걸리 료) 勸(권할 권)
催(재촉할 최) 喚(부를 환) 彩(무늬 채) 鸞(난새 난) 疾(병 질)
峰(봉우리 봉) 邀(맞을 요) 取(거둘 취) 老(늙을 노) 軒(껄껄웃을 헌) 轅(멍에 원)
반도복숭아 열매 맺자 곤륜산에서 잔치하고
잔에 가득 좋은 술 부어서 상원님께 권하네
오색 난새 재촉해서 동쪽으로 바삐 가니
옥봉에서 늙은 헌원 황제 맞아드리시네
반도는 선계의 복숭아로 벽도 또는 선도라고도 한다. 천 년 만에 꽃이 피고 천 년 만에 열매가 맺는다고 한다. 서왕모가 7월 7일 한무제 궁중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헌원(軒轅)은 고대 중국의 황제로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명이다. 고대 중국의 신화 속 인물의 삼황은 태호 복희, 염제 신농, 황제 헌원을 말한다. 헌원은 신농의 자리를 이은 황제로 사람들에게 집 짓는 법과 옷 짜는 법을 가르쳤다고 전한다. 수레를 발병하고 글자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천문과 역산을 시작하고 의료술을 시작한 것도 황제 헌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