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박씨전 정리
세종조(혹은 세조조)에 한양에 살고 있는 이득춘이라는 사람이 늦게 시백이라는 아들을 얻었다. 시백은 사람됨이 총명(聰明)하고 비범(非凡)하였다.
어느 날, 박 처사(處士)라는 사람이 이득춘을 찾아온다. 박 처사는 이득춘과 더불어 신기(神技)를 겨루며 놀다가, 이득춘에게 청하여 이시백을 본 후 그 자리에서 자기 딸과 이시백의 혼인을 청한다. 이득춘은 박 처사의 신기가 범상하지 않음을 알고, 박 처사의 청혼을 쾌히 응낙한다. 이득춘은 정해진 날짜에 이시백을 데리고 금강산으로 가서 박 처사의 딸 박씨와 혼인시킨다.
이시백은 첫날밤에 박씨의 얼굴이 못생겼음을 알고 실망하여 그날 이후로 박씨를 돌보지 않는다. 가족들도 박씨의 얼굴을 보고 모두 비웃고 욕한다. 이에 박씨는 시아버지에게 후원(後園)에다 피화당(避禍堂)을 지어 달라고 청하여 그곳에 홀로 거처한다.
박씨는 이득춘이 급히 입어야 할 조복(朝服)을 하룻밤 사이에 짓는 재주를 보여 준다. 다음으로 박씨는 비루먹은 말을 싸게 사서 잘 기른 후, 중국 사신에게 비싼 값에 팔아 재산을 늘리는 영특함을 보인다. 또, 박씨는 이시백이 과거를 보러 갈 때, 이시백에게 신기한 연적(硯滴)을 주어 그가 장원 급제(壯元及第)하도록 한다.
시집온 지 3년이 된 어느 날, 박씨는 시아버지 이득춘에게 친정에 다녀오겠다고 청한다. 박씨는 구름을 타고서 사흘 만에 친정을 다녀온다. 이때 박 처사는 딸 박씨의 액운(厄運)이 다하였다고 하며, 이득춘의 집에 가서 도술(道術)로 딸의 허물을 벗겨 준다. 그러자 박씨는 일순간에 절세미인(絕世美人)으로 변한다. 이에 이시백을 비롯한 모든 가족이 박씨를 사랑하게 된다.
한편 이시백은 평안감사를 거쳐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오른 뒤, 임경업(林慶業)과 함께 남경(南京)에 사신으로 간다. 그곳에서 이시백과 임경업은 가달의 난을 당한 명나라를 구한다. 두 사람이 귀국한 후, 이시백은 우승상(右丞相), 임경업은 부원수(副元帥)가 된다.
이때, 호왕(胡王)이 조선을 침공하기 전에 이시백과 임경업을 죽이려고, 기룡대라는 여자를 첩자(諜者)로 보내 이시백에게 접근하게 한다. 박씨는 이것을 알고 기룡대의 정체를 밝히고, 기룡대를 혼내어 쫓아 버린다. 이시백과 임경업의 암살에 실패한 호왕은 용골대 형제에게 10만 대군을 주어 조선을 치게 한다.
박씨는 천기(天機)를 보고 이 사실을 알게 되어, 이시백을 통하여 왕에게 호병(胡兵)이 침공하였으니 이에 방비(防備)하도록 청한다. 그러나 간신(奸臣) 김자점(金自點)의 반대로 박씨의 청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마침내 호병의 침공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왕은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피난하지만 결국 호병에게 항복하겠다는 글을 보낸다. 많은 사람이 호병에게 잡혀 죽었으나, 오직 박씨의 피화당에 모인 부녀자(婦女子)들만 무사하였다.
이를 안 적장(敵將) 용홀대(龍忽大)가 피화당에 침입하자 박씨는 그를 죽이고, 복수하러 온 그의 동생 용골대도 크게 혼내 준다. 용골대는 인질들을 데리고 퇴군(退軍)하다가 의주에서 임경업에게 또 한 번 대패(大敗)한다. 왕은 박씨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서 박씨를 충렬부인에 봉한다.
300자 요약
세종 혹은 세조 시기에 한양에 사는 이득춘이 늦게 얻은 총명하고 비범한 아들 이시백과 박 처사의 딸과의 혼인으로 시작하는 이야기다. 박씨는 못생긴 외모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재주로 가문의 명예와 재산을 높이고, 이시백의 장원 급제를 돕는다. 시간이 흘러 박씨의 외모가 절세미인으로 변하면서 가족에게 사랑받게 된다. 한편, 이시백은 국가의 위기 때 명나라를 도와 공을 세우고, 부인 박씨의 지혜로 외적의 침략을 막아내 가문의 명예를 높인다. 결국 박씨는 왕의 신임을 받아 충렬부인에 봉해지며, 이야기는 가문의 영광과 박씨의 지혜와 능력을 강조하며 마무리된다.
'사색과독서 > 교양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화] 『일리아스』에 담아낸 호메로스의 이야기 솜씨 (45) | 2024.04.24 |
---|---|
[고전소설] 홍길동전 정리 (41) | 2024.04.23 |
[균여전 향가]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39) | 2024.04.21 |
[균여전 향가]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회향(廻向, 자신의 공덕을 남에게 돌림)을 두루 미치게하는 노래 (37) | 2024.04.20 |
[균여전 향가]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항상 중생을 따르는 노래 (25)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