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색과독서/교양도서

(515)
소현세자의 비, 강빈옥사(姜嬪獄事) 소현세자의 비, 강빈옥사(姜嬪獄事)1. 사건 개요강빈옥사는 1646년(인조 24년), 소현세자의 빈(嬪)인 강빈 강씨(姜氏)가 시아버지인 인조를 독살하려 했다는 혐의로 사사(賜死)된 사건입니다. 표면상으로는 궁중 독살 및 저주 사건이 원인이었으나, 배경에는 권력투쟁과 정치적 불신이 얽혀 있었습니다.2. 사건의 배경강빈은 1627년 소현세자의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 당시 남편과 함께 청나라 심양에 인질로 끌려가 8년간 생활한 후 1645년 귀국하였습니다.귀국 2개월 후 남편 소현세자가 갑작스럽게 죽자, 강빈은 점차 궁중에서 고립되고 의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합니다.인조는 강빈의 친정 식구들과 궁녀들까지 유배시키며 주변을 철저히 차단합니다.3. 궁중 저주 사건과 독살 시도 의혹궁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1882–1941)는 영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문학 평론가이며, 20세기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녀는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기법을 선도했으며, 페미니즘 문학의 선구자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1. 생애 개요버지니아 울프는 1882년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레슬리 스티븐은 작가이자 비평가였으며, 울프는 어릴 때부터 지적인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망, 그리고 이후 반복된 정신 질환은 그녀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신분열 증세로 몇 차례 요양소를 오갔으며, 결국 1941년, 우울증이 극심해진 상태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2. ..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 상상력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 상상력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문학비평가로, ‘상상력(imagination)’에 관한 철학적 연구로 현대 사상과 문학 이론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바슐라르는 상상력을 단순히 현실을 꾸미거나 장식하는 능력으로 보지 않고, 인간 존재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현실을 변형하며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역동적인 힘으로 바라보았습니다.바슐라르의 저서바슐라르는 그의 주요 저서인 『공간의 시학』(La poétique de l’espace, 1957), 『불의 정신분석』(La psychanalyse du feu, 1938), 『물과 꿈』(L'eau et les rêves, 1942), 『공..
제임스 조이스의 '에피파니' 제임스 조이스의 '에피파니'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1882~1941)는 문학사에서 ‘에피파니(epiphany)’ 개념을 본격적으로 문학적 기법으로 확립한 작가입니다. 원래 ‘에피파니’는 종교적으로 '신의 현현(顯現)'을 의미하는 용어로, 특히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신성이 인간에게 계시되는 순간을 의미했습니다. 하지만 조이스는 이 개념을 문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일상생활의 평범한 순간에서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깨달음, 즉 '순간적 계시'의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조이스가 말하는 에피파니는 매우 짧고 일상적이면서도 강력한 인식을 통해 인물들이 자신의 삶과 현실에 대한 깊은 진실을 깨닫는 순간입니다. 조이스는 자신의 초기 단편집 『더블린 사람들』(Dubliners, 1914)에서 특..
길 – 김소월 길 – 김소월시 전문어제도 하로밤나그네 집에가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었소.오늘은또 몇십 리어디로 갈까.산으로 올라갈까들로 갈까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말 마소, 내 집도정주 곽산차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열십자 복판에 내가 섰소.갈래갈래 갈린 길길이라도내가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행간 설명 및 시 해석1연 (나그네의 외로움과 불길한 징조)> 어제도 하로밤 / 나그네 집에 / 가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었소.화자는 길 위의 나그네로, 정착할 곳 없이 떠돌고 있다. "가마귀 가왁가왁"이라는 의성어는 불길하고 고독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가마귀는 전통적으로 불행이나 죽음을 상징하는 새로, 화자의 삶이 불안정하고 쓸쓸하다는 점을 강조한..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Kokin Wakashū)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Kokin Wakashū)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Kokin Wakashū)는 일본 최초의 황실 명령(勅撰, 칙선)에 의해 편찬된 와카(和歌) 모음집으로, 일본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집입니다.1. 개요편찬 시기: 905년(헤이안 시대 초기)편찬 명령자: 다이고 천황(醍醐天皇)주된 편찬자: 기노 쓰라유키(紀貫之), 기노 도모노리(紀友則), 오시코치노 미쓰네(凡河内躬恒), 미부노 다다미네(壬生忠岑)총 수록 작품: 약 1,111수구성: 20권(권111: 사랑, 권12~20: 잡시, 애상 등)2. 편찬 배경과 특징헤이안 시대 초반, 일본 왕실과 귀족 사회에서는 일본 고유의 시(和歌, 와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이전까지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시..
요모츠히라사카(黄泉比良坂, Yomotsu Hirasaka) 요모츠히라사카(黄泉比良坂, Yomotsu Hirasaka)요모츠히라사카(黄泉比良坂, Yomotsu Hirasaka)는 일본 신화에서 이승과 저승(황천, 黄泉)을 연결하는 경계로 여겨지는 장소입니다. 이는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등장하며,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신화 속 요모츠히라사카요모츠히라사카는 일본 신화에서 **이자나기(伊邪那岐)와 이자나미(伊邪那美)**의 이야기와 깊이 관련이 있습니다.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일본 신화를 보면, 신들의 조상이자 부부인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세계를 창조합니다. 하지만 이자나미가 화염의 신 카구츠치(火之迦具土神, Kagutsuchi)를 낳다가 화상을 입고 죽어 황천(요미, 黄泉)으로 갑니다.이자나기는 그녀를 되찾으러 요모츠히라사카를 넘어..
히미코(卑彌呼), 일본 야마타이국(邪馬台国)의 여왕 히미코(卑彌呼), 일본 야마타이국(邪馬台国)의 여왕히미코(卑彌呼, Pimiko 또는 Himiko)는 일본 야마타이국(邪馬台国)의 여왕으로, 3세기경(약 170~248년)에 활약한 인물입니다. 그녀에 대한 기록은 일본보다 중국의 역사서에 먼저 등장하며, 신비로운 존재로 전해집니다.1. 히미코에 대한 기록히미코에 대한 주요 기록은 중국의 사서(史書)인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魏書 東夷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삼국지》 위서 동이전(魏志 倭人傳)의 기록히미코는 야마타이국을 다스린 여왕으로, 무당과 같은 존재였다.그녀는 신비로운 힘을 통해 정치적 안정을 유지했으며, 직접 통치하기보다는 남동생이 실무를 맡았다.백성들은 그녀를 숭배하며, 그녀는 스스로 궁전에 틀어박혀 대중 앞에 나서지 않았다.주변 여러..
반지의 제왕, 판타지 대서사 반지의 제왕, 판타지 대서사《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은 영국의 작가 J.R.R. 톨킨(J.R.R. Tolkien)이 쓴 대서사 판타지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호빗》(The Hobbit)의 후속작으로, 중간계(Middle-earth)를 배경으로 절대반지(One Ring)를 파괴하려는 여행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1. 줄거리사우론(Sauron)은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어둠의 군주로, 그 힘의 원천이 되는 절대반지를 잃어버린 상태입니다. 이 반지는 호빗인 프로도 배긴스(Frodo Baggins)의 손에 들어오게 되고, 그는 그것을 파괴하기 위해 반지원정대(Fellowship of the Ring)와 함께 모험을 떠납니다.모험은 여러 지역을 거치며 펼쳐지고, 원정대는 여러 위기를 겪..
육당 최남선의 「신춘순례」 육당 최남선의 「신춘순례」: 신문학의 새 시대를 연 작품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新體詩) 「해에게서 소년에게」(1908)를 발표하며 한국 문학의 새로운 형식을 개척했고, 국문학, 역사, 언론,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근대 계몽운동을 주도했다. 그의 작품 중 하나인 「신춘순례(新春巡禮)」는 1910년대 신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신체시의 서구적 감각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조선의 자연과 전통적 정서를 담아낸 점이 특징이다.1. 「신춘순례」의 시대적 배경이 작품은 1910년대 일제 강점기 초기에 쓰였다. 당시 한국 사회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 아래에서 민족적 자각과 근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