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만(1629~1711)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입니다.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에 해당되는 결성(結城)에 살았으며, 송준길의 문하에서 수학했습니다. 1651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이듬해(1657년) 정언이 되었습니다. 1660년 이조 정랑, 대사간(大司諫), 승지(承旨)를 거치고, 1668년 안변 부사와 전라도 관찰사를 역임하였고, 1674년 함경도 관찰사가 되었습니다.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어 칭송이 자자하였다고 합니다.
1679년 한성부 좌윤(漢城府 左尹)이 되었으나, 남인의 윤휴와 허적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로 유배되었습니다. 이듬해 경신환국으로 남인들이 실각하게 되자 도승지가 되었고, 대제학,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1684년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1687년 영의정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자 소론의 영수가 된 기라성 같은 경력을 가진 장수한 인물입니다.
남구만 시조, 동창이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 치는 아이는 여태 아니 일어났느냐
재 너머 서래 긴 밭을 언제 갈려하느냐
동쪽으로 난 창이 밝아지고 새소리가 들리는 전원 풍경입니다. 새벽부터 새들은 먹이를 찾는 소리로 부산합니다. 고층 아파트에서는 맛보기 힘든 옛 풍경입니다. 나이들어 귀촌한 시인은 그날 일을 챙깁니다. 쟁기질할 아이(?)를 찾습니다. 쟁기질을 할 정도면 상일꾼이지 아이는 아닙니다. 노년의 작가 눈에는 얘로 보이지만.
사래가 긴 밭을 언제 갈려고 늦장을 피우냐고 책망하지만, 어투로 봐서는 크게 괘념 치는 않은 성싶네요. 잠이 없는 노인과 한참 나이의 일꾼 사이에 오가는 일상 언어 정도로 들리네요. 시각적, 청각적 소재를 끌여들인 전원의 낭만과 밭을 일궈야 하는 현실이 잘 섞인 훌륭한 노래입니다.
아침이면 시조를 읊던 노년의 우리 할아버지 생각이 납니다.
'사색과독서 > 교양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조] 박효관, 님 그린 상사몽이 (29) | 2023.09.22 |
---|---|
[시조] 송시열, 청산도 절로 절로 (8) | 2023.09.21 |
[시조] 안민영, 금강 일만 이천봉이 (6) | 2023.09.19 |
[시조] 안민영, 매화사(梅花詞) 3 (2) | 2023.09.18 |
[시조] 안민영, 매화사(梅花詞) 2 (39)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