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79)
[향가] 서동요(薯童謠) 서동요(薯童謠) 원문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夘乙抱遣去如 양주동 역 善化公主선화공주니믄(선화공주님은) ᄂᆞᆷ 그ᅀᅳ지 얼어 두고(남몰래 통정해 두고) 맛둥바ᄋᆞᆯ(맛둥 도련님을) 바ᄆᆡ 몰 안고 가다(밤에 몰래 안고 간다) 홍기문 역 善化公主선화공주니ᄆᆞᆫ(선화공주님은) ᄂᆞᆷ 그ᅀᅳ기 얼어 두고(남 몰래 시집 가서) 셔동 지블(서동이를) 바므란 안고 가다(밤이면 안고 간다) 김완진 역 善化公主善化公主선화공주니리믄(선화공주님은) ᄂᆞᆷ 그ᅀᅳᆨ 어러 두고(남 몰래 짝 맞추어 두고) 서동 방ᄋᆞᆯ(서동방을) 바매 알ᄒᆞᆯ 안고 가다(밤에 알을 안고 간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 서동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따르면 선화공주는 진평왕의 막내딸로 되어 있다. 삼국유사를 기반으..
[고전] 향가 목록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 14수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신라·고구려·백제의 유사를 편년체로 서술한 역사서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모두 5권 9편의 체재로 되어 있다. 일연이 고대 역사 중 정사에는 없는 유문과 일사(逸史)를 바탕으로 찬술하였다. 고대 사회의 역사, 풍속, 종교, 문학, 예술, 언어 등에 관한 사료를 수록하고 있다. 이 책에는 향가나 이두로 표기한 글도 있으며, 향찰로 표기된 혜성가 등 신라 향가 14수는 한국고대문학사에서 절대적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우리나라 역사서 가운데 최초로 단군신화를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균여전에 전하는 향가 11수 '균여전'은 고려 전기 학자 혁련정이 승려 균여(均如, 923~973)의 행적을 모아 1075년에 저술한 전기이다. 혁련정은..
[고전] 향가(鄕歌), 신라에서 고려로 이어지는 우리의 옛 노래 향가의 개념과 변천 향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종종 몇 가지 기본적인 사실들을 떠올립니다. 이는 향가가 향찰로 표기되었으며, 삼국시대 말경부터 고려 전기까지 우리나라에서 널리 향유되었고, 4구체, 8구체, 10구체 형식을 갖춘 우리말 노래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향가 연구는 이러한 상식적 이해를 바탕으로 더욱 깊이 있는 분석과 이해를 추구해 왔습니다. 향가에 대한 명칭 논란은 그 시작부터 있었습니다. 신라시대에 '향가'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우리 노래'를 의미하는 보통명사였습니다. 그러나 근대 이후에는 향찰로 표기된 신라의 특정 정형시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변모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향가는 25, 26수에 불과하기에, 신라 당시의 보다 넓은 향가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상대시가] 황조가(黃鳥歌) 황조가(黃鳥歌) 翩翩黃鳥 펄펄 나는 꾀꼬리는 雌雄相依 암수 서로 노니는데 念我之獨 외로운 이 내 몸은 雖其與歸 눌과 함께 돌아갈꼬 황조가는 고구려 2대 유리왕이 왕비 송씨가 죽은 후 계실로 맞아들인 두 왕비(치희와 화희)의 질투 싸움이 배면에 깔려있다. 왕은 떠나 버린 치희에 대한 애틋한 미련을 노래로 담았다. 그 이면에는 고구려 건국 초기 어지러운 정치 현실이 놓여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학자들이 많다.
[고전]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公無渡河 그대 강을 건너지 마오 公竞渡河 그대 기어이 건너네 墮河而死 물에 빠져 죽으니 當奈公河 그대를 어이 하리 가락국의 구지가는 국가의 제의에 쓰였던 백성들이 함께 부르던 노래였다. 그런 거룩한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현실의 경험 공간에서 일어나는 인간적 삶의 문제로 내려온 상대시가가 '공무도하가'이다. '공무도하가'는 새벽에 배를 손질하던 남자가 흰머리를 흩뜨리고 술병을 든 채 겁 없이 강을 건넌다. 강을 건너지 못하고 사나이는 죽음을 맞이한다. 남편을 만류하다가 아내마저 뒤따라 목숨을 던지는 슬픈 사연이 있다. 노래의 극적 정황으로 설정된 부부의 연쇄적 죽음은 어느 시대 어느 민족에게서나 있음직한 이야기이다. 상대시가는 아직 한국시가로서 역사성과 민족문학으로서의 개별성을 획득하..
[고전] 구지가(龜旨歌) 구지가(龜旨歌)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 가락국 사람들이 모여 함께 부르는 주술적 성격을 갖는 노래로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노래는 거북을 부르고(호칭), 머리를 내라고 지시한다.(명령) 그리고 내놓지 않으면(가정), 구워 먹겠다고 위협하는 순으로 진행되는 짧은 노래다. 구지가는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실려 전하는 수로왕 탄강담(誕降譚)의 중심부를 차지한다. 가락국게 기술된 연대를 따른다면 기원후 42년, 곧 1세기 경 제작된 작품이다. 1세기의 구지가 자체로서 보다 '구지가계 노래'라는 유형적 의미가 있다. 수로왕 탄강담과 더불어 처음으로 나타난 독창적 노래가 아니라, 그 이전부터 이미 호칭과 명령, 가정과 위협의 주술적 형태의 노래가 전승되어 있었다고 봐야 한다.
[고전] 고전시가의 장르 체계 고전시가의 장르 체계 고전시가는 한국 문학의 중요한 장르 중 하나로, 과거 우리 선조들이 즐겨 짓고 불렀던 시와 노래를 아우르는 문학 형태입니다. 이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생활, 역사적 사건들을 담고 있어, 이를 통해 인간과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고전시가를 학습함에 있어, '고전'과 '시가'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전'이란 개념은 시간적 배경을 기준으로 1894년 이전에 산출된 문학 작품을 지칭하며, 동시에 사람들에게 널리 읽히며 가치를 인정받는 작품들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고전 개념은 시간적 개념이 강조되고 가치 개념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시가에 대한 이해는 「서경」의 「순전(舜典)」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시는 뜻을 말하는 것..
[희랍신화] 신화 속 영웅들의 이야기 신화 속 영웅들의 이야기 그리스 신화 속에서 영웅들의 이야기는 단순한 모험담을 넘어서, 지역 사회의 정체성 형성과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영웅은 종종 신들의 후손으로, 인간 세계와 신들의 세계 사이를 연결하는 중재자 역할을 하며, 그들의 업적은 지역 사회의 가치와 정체성을 반영합니다. 벨레로폰과 코린토스 벨레로폰은 포세이돈의 손자로, 그리스 중부의 도시 코린토스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치메라, 하늘을 나는 말 페가수스를 이용해 불을 뿜는 괴물을 처치하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코린토스 지역민들에게 용기와 지혜, 그리고 신과의 연결을 강조합니다. 헤라클레스와 도리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의 아들로, 그리스의 도리스 지역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의 12가지 과업은 인간의 한계..
[희랍신화] 제우스의 자식 세대들 제우스의 지식 세대들 제우스의 자식 세대는 제우스의 동료들과 결혼하면서 좀 더 복잡한 올림포스 신들의 혈통을 만들어냈다. 이들은 제우스의 가치와 영역을 물려받아 다섯 가지 핵심 덕목, 즉 숙제, 자비, 질서, 창조성, 힘을 아우르는 것으로 이루어진 각기 다른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아폴로 아폴로는 음악과 예술 그리고 예언의 신으로, 새로운 창조의 원천인 태양을 상징한다. 그는 또한 질병과 치료를 다스리는 신이기도 하다. 성차례를 지키지 않는 사람에게 질병을 내리고, 충실한 숭배자에게는 치료와 보호를 제공한다. 아테나 그의 언니 아테나는 지혜와 전략, 다자락짓기와 직물, 그리고 도시와 문화를 보호하는 신이다. 그녀는 신성한 도시 아테네의 수호신이자, 지혜와 전략을 아우르는 여성 신들의 대표적인 인물이기도 ..
[희랍신화] 제우스의 연애담 제우스의 연애담 제우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으로, 날씨와 천둥, 법과 질서를 통치하는 왕입니다. 그러나 그는 또한 교활한 연인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제우스의 연애담은 그의 유명한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 차 있으며, 그중 몇몇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우로파: 페니키아 왕 아게놀라우스의 딸 이우로파는 그의 최초의 연인 중 한 명입니다. 제우스는 황소로 변신해 그녀를 유혹했고, 그녀를 등에 올리고 바다를 건너 크레타 섬으로 데려갔습니다. 그녀는 크레타에서 미노스, 라다마스, 사르페돈 등 세 명의 아들을 낳았습니다. 데메테르: 데메테르는 농업과 풍물의 여신이며, 제우스의 여동생이기도 합니다. 그들의 관계에서 페르세포네가 태어났습니다. 레다: 레다는 스파르타의 왕 틴다레오스의 아내였습..